본문 바로가기
잡동사니

리눅스 파일 권한 명령어 chmod

by 코인DOL 2022. 5. 18.
반응형

리눅스에서 어떤 데이터 파일들은 vi 에디터로 편집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.
그 원인 중의 하나가 파일 권한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인데, 그러한 경우 chmod 명령을 이용하면 제한된 권한을 풀어줄 수 있다.


먼저 터미널에서 'ls -al' 명령을 실행하면 아래 창과 같이 각 파일들의 접근 권한이 표시된다.

일 권한은 보통 10개의 문자열로 표시되는데, 그 규칙은 아래와 같다.
ex) -rw-r--r--, -rwxrwxrwx, drwxrwxrwx 


1번째 문자 : '-'일 경우 파일, 'd'일 경우 디렉토리, 'l'일 경우 링크를 의미
2~4번째 문자 : 소유주(User) 권한
5~7번째 문자 : 그룹(Group) 권한
8~10번째 문자 : 나머지(Others) 권한


각각의 문자 r, w, x는 각각 Read, Write, Execute를 의미하여 각각의 권한은 아래와 같은 값으로 읽을 수 있다.
r : Read (읽기 권한) = 값 4
w : Write(쓰기 권한) = 값 2
x : Execute(실행 권한) = 값 1


따라서 '-rwxrwxrwx'는 '4+2+1, 4+2+1, 4+2+1'이므로 '777'로 표현할 수 있고,
'-rw-r--r--'는 '4+2, 4, 4'이므로 '644'로 표현할 수 있다.


위 파일 목록들을 보면 're-F0083_B.dat', 're-F0083_V.dat', 're-F0083_I.dat' 세 파일들이 Group 권한과 Others 권한에서는 읽기 권한밖에 가지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.


이 파일들을 수정해주거나 파일 내에서 주석을 달아줘야할 경우 제한된 권한을 해제하여 모든 사용자에서 쓰기 권한이 설정되도록 해야하는데, 이때 chmod 명령을 이용할 수 있다.


$ sudo chmod 777 (filename)


이러면 모든 사용자 권한에서 vi 에디터로 파일들의 내용을 수정해 줄 수 있다.

반응형